마틴 M-130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틴 M-130은 1930년대 팬 아메리칸 월드 항공의 태평양 횡단 노선 운항을 위해 개발된 대형 비행정이다. 1934년 첫 비행을 했으며, '차이나 클리퍼', '하와이 클리퍼', '필리핀 클리퍼' 등 3대가 제작되었다. 이 비행정은 태평양 횡단 우편 및 여객 운송에 사용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군사 수송기로도 활용되었다. 그러나 여러 차례의 사고로 인해 손실되었으며, 마지막 기체는 1945년에 운항 중 침몰했다.
M-130은 팬 아메리칸 월드 항공(Pan American World Airways) 사장 후안 트리페(Juan Trippe)의 태평양 횡단 항공기 개발 요구에 맞춰 설계된, 유선형 공기역학을 갖춘 완전 금속제 비행정이었다. 판매 가격은 417,000달러였으며, 1934년 12월 30일에 첫 비행을 했다.[2]
M-130은 프랫 & 휘트니 R-1830-S2A5G 트윈 와스프 14기통 왕복 엔진 4개를 장착했으며, 각 엔진은 830마력을 냈다(후기형은 유압식 프로펠러 장착 시 950마력).[1] 최대 속도는 290km, 순항 속도는 209km였다.[1] M-130은 항속 거리가 5150km로 길었고, 상승 한도는 3048m였다.[1]
2. 운용 역사
태평양 횡단 서비스에 사용하기 위해 우표인 스콧 카탈로그 C-20이 인쇄되었다. 서비스가 확장되면서 두 개의 액면가가 더 발행되었는데, 세 우표 모두 비행 중인 M-130을 보여주는 동일한 디자인을 가지고 있다.
M-130은 항속 거리와 수송 능력이 뛰어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대양 횡단 군사 비행에 유용하게 사용되었다. 1942년부터 나머지 두 대의 비행기는 미국 해군의 수송 임무를 맡았다.
종전 후 항로는 부활했지만, 고성능 육상기의 등장으로 호화로운 비행정을 이용한 여행은 막을 내렸다. 그러나 현대에도 이 시대의 비행정은 모형 비행기나 그림, 일러스트의 소재로 인기가 있다.이름 이미지 등록 번호 인도일 손실 하와이 클리퍼 NC14714 [10][11] 필리핀 클리퍼 NC14715 차이나 클리퍼 NC14716 [12]
2. 1. 태평양 횡단 상업 운항
1935년 11월 22일, 에드윈 C. 머식(Ed Musick) 선장과 R.O.D. 설리번 부기장이 조종한 '차이나 클리퍼'가 최초의 태평양 횡단 우편 노선을 비행했다.[3] 팬아메리칸 항공은 이 노선을 위해 15만 명의 관중이 지켜보는 가운데 샌프란시스코의 알라메다 비행정 기지에서 차이나 클리퍼(1호기)를 이륙시켜 호놀룰루, 미드웨이 섬, 웨이크 섬과 괌을 경유하여 필리핀의 마닐라에 도착, 110,000통의 항공 우편을 배달했다.
1936년 10월, '하와이 클리퍼'가 샌프란시스코를 출발하여 마닐라로 가는 주간 여객 비행을 시작했으며, 호놀룰루, 미드웨이 섬, 웨이크 섬 및 괌에서 하룻밤을 묵었다. S-42에 비해 대형 비행정이었던 타입 130은 항속 거리가 5,150km로, 순항 속도는 시속 252km였다. 미국에서 필리핀까지 4박 5일 일정으로 비행했으며, 승객은 밤에는 각 섬의 호텔에 숙박했다. 여객선 1등 객실에 대항하여 라운지 및 식당도 있었으며, 크기에 비해 승객 수는 14명으로 적었으나, 단거리 비행 때는 41명까지 탑승할 수 있었다. 1937년에는 마닐라-홍콩(당시 영국령) 노선, 1941년에는 마닐라-싱가포르(영국령 말레이) 노선이 개설되었다.[3]
2. 2.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1941년 12월, 일본 해군의 진주만 공격으로 미국이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면서 M-130은 미국 해군에 징발되었다.[5] '필리핀 클리퍼'는 진주만 공격 이후 웨이크 섬에 대한 일본의 기습 공격에서 살아남은 민간 비행 중이었다.[6]
2. 3. 사고
1938년 7월, 하와이 클리퍼(''Hawaii Clipper'')는 승무원 9명과 승객 6명을 태우고 괌과 마닐라 사이를 운항하던 중 실종되었다.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4]
1943년 1월, 팬 암 항공 1104편으로 운항 중이던 ''필리핀 클리퍼''는 캘리포니아주 유키아(Ukiah)와 캘리포니아주 본빌(Boonville) 사이에서 추락했다. 이 사고로 ComSubPac(잠수함사령부) 제독 로버트 헨리 잉글리시(Robert Henry English)를 포함한 19명이 사망했다.[7]
1945년 1월, ''차이나 클리퍼''는 트리니다드 토바고의 포트오브스페인에 착륙하던 중 파손되어 침몰했으며, 이 사고로 탑승객 23명이 사망했다.[8]
3. 기체 목록
이름 이미지 등록 번호 인도일 손실 하와이 클리퍼 NC14714 1936년 3월 3일 1938년 7월 28일 [10][11] 필리핀 클리퍼 NC14715 1935년 11월 14일 1943년 1월 21일 차이나 클리퍼 NC14716 1935년 10월 9일 1945년 1월 8일[12]
4. 성능 제원
4. 1. 일반 특성
4. 2. 성능
항목 | 상세 |
---|---|
승무원 | 6~9명 (기장, 부기장, 2등 항법사, 정비 장교, 보조 정비 장교, 통신사, 항법사, 객실 승무원) |
승객 | 주간 36명, 야간 18명 |
전장 | 27.7m |
전폭 | 39.7m |
높이 | 7.5m |
최대이륙중량 | 23701kg |
엔진 | 프랫 & 휘트니 R-1830-S2A5G 트윈 와스프 14기통 왕복 엔진 4개 (후기형은 유압식 프로펠러 장착 시 950마력) |
최대 속도 | 290km |
순항 속도 | 209km |
항속 거리 | 5150km |
상승 한도 | 3048m |
5. 대중 문화
M-130은 호화로운 비행정과 항공 여행의 황금기를 상징하며, 현대에도 모형 비행기, 그림, 일러스트의 소재로 인기가 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Chasing the Sun
https://www.pbs.org/[...]
2007-08-20
[2]
웹사이트
The Golden Age of Aviation
https://web.archive.[...]
2007-08-20
[3]
웹사이트
Flying Clippers
http://www.flyingcli[...]
2007-08-19
[4]
웹사이트
Aviation Safety Network
http://aviation-safe[...]
Aviation Safety Network
2007-08-19
[5]
웹사이트
Flying Clippers at War
http://www.flyingcli[...]
2007-08-20
[6]
뉴스
Japs Attacked Midway Island
https://cdnc.ucr.edu[...]
1941-12-11
[7]
웹사이트
Aviation Safety Network
http://aviation-safe[...]
2007-08-20
[8]
웹사이트
Accident Report
https://aviation-saf[...]
Aviation Safety Network
2007-08-20
[9]
웹사이트
Martin M-130
https://www.clipperf[...]
2020-03-23
[10]
뉴스
Manila Clipper Lost at Sea
https://cdnc.ucr.edu[...]
1938-07-29
[11]
뉴스
Has 'flying boat,' been found?
https://cdnc.ucr.edu[...]
1980-08-11
[12]
뉴스
23 Killed in Clipper Crash in Trinidad
https://cdnc.ucr.edu[...]
1945-01-10
[13]
웹사이트
Flying Clippers
http://www.flyingcli[...]
2007-08-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